Programming/Linux

[Linux] tail 명령어 사용법 (실시간 서버 로그 확인)

notesfromyoungdeveloper 2024. 12. 16. 23:29
728x90
반응형

 

 

 

tail은 파일의 끝부분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Usage: tail [OPTION] [FILE]

 

아래는 예제로 사용할 텍스트 파일 test_tail.txt의 내용입니다.

뒤에서 11번재 줄입니다.
뒤에서 10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9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8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7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6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5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4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3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2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1번째 줄입니다.

 

1. 옵션 없이 사용

아무 옵션 없이 파일명만 입력으로 넣는 경우,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출력해 줍니다. (끝에서 10줄)

tail test_tail.txt

 

2. -n 옵션 

-n 옵션을 사용하면, 출력하는 라인의 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lines로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ail -n 3 test_tail.txt

tail --lines=3 test_tail.txt

 

3. -f 옵션

-f 옵션을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내용을 계속 출력해 줍니다.

주로 서버 로그를 모니터링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tail -f test_tail.txt

 

일반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모든 서버 로그를 보기에는 양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grep 명령어와 같이 사용합니다.

tail의 -f 옵션과 grep 명령어와 같이 사용하면, 특정 패턴이 들어있는 로그만 출력해서 볼 수 있습니다.

tail -f test_tail.txt | grep DEBUG

 

grep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notesfromyoungdeveloper.tistory.com/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