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39

[Python] NumPy 설치 방법

NumPy(Numerical Python)는 Python에서 scientific computing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 가능합니다.pip install numpy 설치 이후에는 아래와 같이 import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import numpy as np NumPy 라이브러리의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1) 다차원 배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2) C언어로 구현되어 있어서 연산 속도가 빠르다.(3) 여러 분야의 수학 관련 다양한 함수를 제공한다.

Programming/Python 2024.12.26

[Python] 문자열 바꾸기 replace

문자열 메서드(method) 중 하나인 replace()을 이용해서, 문자열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place() 메서드는 교체하고 싶은 문자열을 찾아서, 다른 문자열로 바꿔줍니다.아래는 문자열 '1,000'을 '1,000,000'으로 바꾸는 예제입니다.a = 'Bank balance : $1,000'b = a.replace('1,000', '1,000,000')print(b) 통장 잔고(Bank balance)를 1,000달러에서 1,000,000달러로 바꿔보았습니다.1,000,000달러는 현재 환율로 계산해 봤을 때, 약 14억입니다.통장 잔고를 이렇게 쉽게 바꿀 수 있다니, python은 정말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네요!

Programming/Python 2024.12.25

[Python] 문자열 나누기 split

문자열 메서드(method) 중 하나인 split()을 이용해서, 문자열을 나누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split()은 매개변수로 입력한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주는 역할을 합니다. 1. 구분자 없이 사용구분자 없이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줍니다.a = 'Do, Re, Mi'b = a.split()print(b) 2. 구분자 사용 매개변수로 구분자를 넣어줄 경우,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줍니다.a = 'Do, Re, Mi'b = a.split(',')print(b) 아래와 같이 문자열을 구분자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a = 'Do, Re, Mi'b = a.split('Re')print(b)

Programming/Python 2024.12.24

[Python] 텍스트 파일 한 줄씩 읽는 방법

텍스트 파일을 한 줄씩 읽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adlines 함수와 readline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1. readlines 먼저, readlines 함수를 사용해서, 텍스트 파일을 한 줄씩 읽어보겠습니다.with open('text.txt','r') as f: lines = f.readlines() for line in lines: print(line) readlines 함수는 텍스트 파일의 모든 내용을 한 번에 읽는 함수입니다.한 번에 읽은 다음에, for 문을 이용해 한 줄씩 출력하는 코드입니다.위 코드의 실제 출력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2. readline다음은 readline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with open('text.txt','r'..

Programming/Python 2024.12.23

[Linux] zip 압축하기, 압축 푸는 방법

먼저, zip 파일을 다루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로 zip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apt-get install zip 1. 압축하기zip [파일명.zip] [파일명]zip -r [파일명.zip] [폴더명] 하나의 파일만 압축할 때는 별도의 옵션이 필요 없지만, 폴더를 압축할 때는 -r 옵션이 필요합니다.또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zip [파일명.zip] [폴더명]/* 명령어에 따라 압축되는 형태가 조금씩 다르니, 사용하실 때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2. 압축 풀기unzip [파일명.zip]

Programming/Linux 2024.12.21

[Linux] tar 압축하기, 압축 푸는 방법

여러 파일을 하나의 tar 파일로 압축하고, 다시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압축하기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c : 새 압축 파일을 만드는 옵션-v : 처리되는 파일 또는 폴더 정보를 보여주는 옵션 (생략 가능)-f : 파일명을 지정하는 옵션 (필수)-z : gzip 압축에 필요한 옵션 -v 옵션은 필수는 아니지만, 아래와 같이 어떤 파일과 폴더들이 압축되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2. 압축 풀기tar -xvf [파일명.tar]tar -zxvf [파일명.tar.gz] -x : 압축 풀 때 사용하는 옵션 압축할 때와 마찬가지로, -v 옵션은 생략 가능합니다.

Programming/Linux 2024.12.20

[Linux] sox 오디오 파일 포맷 변환 (pcm to wav, wav to pcm)

sox를 이용해서, 오디오 파일의 포맷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cm to wavsox -b 16 -e signed-integer -c 1 -r 16k -t raw in.pcm out.wav 위는 16bit signed-integer 형태의 16kHz mono pcm(raw) 파일을 wav 파일로 변환하는 명령어입니다.각 옵션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b : Encoded sample size in bits-e : Set encoding-c : Number of channels of audio data; e.g. 2 = stereo-r : sample rate of audio-t : File type of audio 2. wav to pcmsox in.wav ..

Programming/Linux 2024.12.19

[Linux] sox 샘플링 주파수 변경 방법

sox를 이용해서 샘플링 주파수(sample rate)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아래와 같이 sox의 -r 옵션을 사용하면, 샘플링 주파수를 바꿀 수 있습니다.sox [입력 파일명] -r [샘플링 주파수] [출력 파일명] 먼저, 테스트에 사용할 test.wav 파일의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sox의 --i 옵션을 사용하면, 오디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i 옵션을 사용하거나, soxi 명령어로도 확인 가능합니다.sox --i test.wavsoxi test.wav test.wav 파일은 샘플링 주파수가 16000Hz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sox를 이용해서, 샘플링 주파수를 8000Hz로 변경해 보겠습니다.sox test.wav -r 8k test_sr_8k.wa..

Programming/Linux 2024.12.18

[Linux] sox 설치 방법

sox는 오디오 파일의 포맷 또는 타입을 변환할 때, 많이 사용하는 패키지입니다.sox를 사용하려면, 먼저 아래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apt-get install sox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sox -hsox --help 내용이 많아서 usage summary 까지만 캡처해서 보여드립니다.sox는 아래 캡처와 같이 다양한 오디오 파일 포맷을 지원합니다.

Programming/Linux 2024.12.18

[Linux] tail 명령어 사용법 (실시간 서버 로그 확인)

tail은 파일의 끝부분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Usage: tail [OPTION] [FILE] 아래는 예제로 사용할 텍스트 파일 test_tail.txt의 내용입니다.뒤에서 11번재 줄입니다. 뒤에서 10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9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8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7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6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5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4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3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2번째 줄입니다. 뒤에서 1번째 줄입니다. 1. 옵션 없이 사용아무 옵션 없이 파일명만 입력으로 넣는 경우,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출력해 줍니다. (끝에서 10줄)tail test_tail.txt 2. -n 옵션 -n 옵션을 사용하면, 출력하는 라인의 수를 지정할 수 있습..

Programming/Linux 2024.12.16
728x90
반응형